고객 예탁금이 줄어드는 이유중 하나는
서울 아파트 매물이 8만건에 유박하는 상황속에서
부동산자산 처분을 막기 위한 예탁금 유출 일 수 도 있고
글로벌 경기하강속에서 한국은 경기침체구간 진행과 중기 고금리 시대로 진입하면서 불안전 자산투자보단 예적금으로 유입되는 유출이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한파속으로 들어간다고 시장분위기가 형성되면 한 번 전환되는 자본은 쉽게 돌아오지 못합니다.
참고로 10월~12월 사이에 만기가 돌아오는 예적금이 100조 정도 됩니다. 은행들은 돈이 부족해서 특판 금리 7%짜리 적금을 이벤트성으로 런칭하고 있습니다.
은행이 예적금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돈이 없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10월달에 은행채 한도를 폐지 했다는 것을 잘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뉴스는 중요한 부분은 언급하지 않고 한국은행총재는 면피하기 급급한 상황입니다. 칭송받을 수준의 위인이 아니라는 사실은 조만간 밝혀지겠지요….
예탁금이 줄어들수록 섹터로테이션이 빠르게 진행되고 테마주들이 기승을 부리며 지수는 변동성이 커집니다.
진득한 가치투자자에겐 공부하기 좋은 시기이고
유연한 투자자에겐 잘 경험할 수 없는 재밌는 시장이 펼쳐져 있습니다.
-대한민국 GDP 지금 끌어 올리지 못하면, 대한민국 경제는 영원히 추락할 수밖에 없다-
2023년 6월 8일(현지시간), Goldman Sachs 다음과 같은 연구보고서를 포스팅하였다.
“Global Economics Analyst. The Path to 2075-Capital Market Size and Opprtunity”이다.
즉 “글로벌 경제 분석. 2,075년으로 가는 길-자본시장 규모와 기회”이다(첨부자료 참조).
이 보고서를 분석해 보면, Goldman Sachs는 1980년대 부터, 2000년대, 그리고 2,022년까지의 “세계 15대 경제국들(The World’s 15 Largest Economies)”의 “실질 국내총생산(Real GDP)”를 분석하고, 이들 경제국들의 2050년대, 그리고 2075년대의 실질 국내총생산을 예측한 것이다.
그리고 2075년으로 가는 길목에서 글로벌 경제의 지각변동이 일어나는데, 2050년에는 중국의 Real GDP가 미국을 누르고, 세계에서 1등 경제대국이 된다.
그리고 2위가 미국, 3위가 인도, 4위가 인도네시아, 5위가 독일이 되고, 그 동안 세계경제 대국의 2위 또는 3위를 차지하는 일본은 6위로 내려 앉는다.
그리고 2075년이 되면, 1위가 중국, 2위 인도, 3위 미국, 4위 인도네시아, 5위 나이제리아, 6위 파키스탄, 7위 이집트, 8위 브라질, 9위 독일, 10위 영국, 11위 멕시코, 12위 일본, 13위 러시아, 14위 필리핀, 15위 프랑스가 된다.
한마디로, 2075년이 되면, 그야말로 글로벌 경제의 지각변동이 일어난다.
그러면 이러한 글로벌 경제의 지각변동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그것은 인구가 많고, 자원이 많은 국가들이 글로벌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것이다.
그러면 대한민국은 어떤가?
Goldman Sachs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한민국은 2020대부터 2022년까지 글로벌 경제강국들의 서열이 12위이었다.
그러나 2022년에서 2075년까지의 길을 보면, 대한민국은 없다.
한마디로 대한민국 경제는 2000년대에서, 2022년까지가 “대한민국 경제의 르네상스 시대”였고, 2023년부터 내리막 길을 가고 있고, 이 상태로 계속 가게 되면, 대한민국은 그 동안 누렸던, 글로벌 경제강국 12위 안에 랭크될 수 없고, 대한민국 경제는 영원히 추락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대한민국 경제는 무엇 때문에 이렇게 추락하는가?
그것은 인구 감소와 천연자원의 부족 때문이다.
그러면 대한민국의 인구 감소에 대한 UN의 분석을 보자.
2019년 UN은 대한민국의 인구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내놓았다(자료 참조).
UN의 데이터에 의하면, 대한민국 인구는 1950년에 대략 “1천8백만명”에서 계속 증가하여, 2024년에 “5천1백3십만명”으로 정점에 이르고, 이후 계속 줄어들기 시작하여, 2100년에는 “2천9백5십만명”이 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즉 “76년” 동안에, “2천1백8십만명”의 대한민국의 인구가 줄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의 2100년 인구 수는 대한민국의 1966년의 인구 수와 같다고 한다.
이것만이 문제가 아니다.
UN은 1950년의 대한민국의 65세 또는 그 이상의 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3% 미만이었는데, 2019년에는 15%가 65세 또는 그 이상의 노령인구라는 것이다.
또한 노령인구는 계속 증가해서, 2024년에는 19%, 그리고 2100년에는 대한민국의 전체인구중에서, 65세 또는 그 이상의 노령인구가 38%가 된다는 것이다.
즉 2100년에는 대한민국 인구는“2천9백5십만명”이며, 이중에 노령인구가 “1천1백2십1만명”으로 노동력이 심각하게 부족하고, 소비 또한 심각하게 줄어든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Goldman Sachs와 UN의 데이터를 분석하면, 대한민국 경제가 왜? 2023년부터 하락하는지를 알 수가 있다.
즉 대한민국 인구가 2024년에 “5천1백3십만명”으로 정점에 이르고, 이후 계속 감소하기 시작하여, 2100년에는 “2천9백5십만명”이 되는 것과 대한민국 경제가 2023년부터 추락하는 것은 “상관관계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참고로, 인구 감소와 GDP 하락은 다음 식에서 볼 수 있다.
즉 GDP 산출식에서, GDP에 기여를 가장 큰 기여를 하는 요인은 ”소비(민간소비와 가계소비)” 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소비(민간소비와 가계소비)”가 GDP에 대략 59.8%, 즉 대략 60%정도 기여를 하는데, 대한민국 인구가 2024년에 “5천1백3십만명”으로 정점에 이르고, 이후 계속 감소하기 시작하여, 2100년에는 “2천9백5십만명”이 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GDP는 인구 감소와 함께 추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대한민국의 천연자원 부족이다.
대한무역협회 자료를 보면 다음과 같다.
2022년 수출총액은 “683,584,760천불”, 수입총액은 “731,369,657천불”로, 무역적자는 “47,784,897천불”이다.
또한 2022년 수입총액중에서, 천연자원인 원유가 총수입비중 14.5%로, 수입총액은 “105,064백만불”,
천연가스는 총수입비중 6.8%, 수입총액은 “50,022백만불”,
석탄은 총수입비중 3.9%, 수입총액은 “28,332백만불”,
석유제품은 총수입비중은 3.7%, 수입총액은 26.711백만불이다.
따라서 2022년 대한민국 총수입중에서, 원유, 천연가스, 석탄, 석유제품 등 에너지 자원의 총 수입액은 “211,030백만불”로, 전체 수입비중의 “28.9%‘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로 대한민국 2022년 수출품목 1위는 반도체로, 총 수출금액은 ”129,229백만불“, 충 수춟비중은 ”18.9%’로, “대한민국 반도체 팔아서, 원유와 석탄의 수입대금으로 지불”했다고 보면 된다.
한마디로 천연자원이 부족한 대한민국은 아무리 수출을 잘해도 무역흑자는 한계는 있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수출은 대한민국 GDP에 차지하는 비중이 대략 36%가 되기 때문에, 어떻게든 수출을 잘해야 대한민국 GDP가 올라간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글로벌 경제가 2075년으로 가는 길에, 생존하려면, 인구증가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개발과 부족한 천연자원들의 해외투자 및 개발이 없는 한, 대한민국의 GDP는 영원히 추락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지금이라도 대한민국의 GDP를 끌어 올리는 적극적이고, 과감한 정책개발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Tesla News Summary Is Getting Scented to Surge Tesla slashes Canadian Autopilot feature price by…
Tesla News Summary Adjusted for Options Expiration Date SpaceX Successfully Captures Starship Super Heavy Booster…
Let's start the new year vigorously. Happy new year, and I sincerely hope that you…
In the last essay, I told you that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inflation could be…
One of the biggest issues of the year is the Trump administration's tariffs. First of…
We're continuing our annual outlook. However, since it's a weekday essay, the progress is not…